요약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의 입자 크기의 정도. 일반적으로 표준 체눈 크기와의 관계로 나타낸다. 미터계의 입도는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표준체의 방형(方形) 그물눈 또는 원형 그물눈의 한 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단위로 나타낸다. 푸트-파운드계에서는 1inch에 포함되는 그물눈 수로 나타내는데 이것을 메시(mesh)라고 한다.
--------------------------------------------------------------------------------
내용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의 입자 크기의 정도. 일반적으로 표준 체눈 크기와의 관계로 나타낸다. 미터계의 입도는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표준체의 방형(方形) 그물눈 또는 원형 그물눈의 한 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단위로 나타낸다. 푸트-파운드계에서는 1inch에 포함되는 그물눈 수로 나타내는데 이것을 메시(mesh)라고 한다. 모래나 연삭숫돌 입자에서는 천연적인 것이나 인공적인 것에서도 반드시 같은 크기의 입자만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업적으로는 어느 정도 입자의 크기가 고른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체가름법·현미경법·침강법·파별법·광전주사법(光電走査法) 등의 방법에 의해 같은 크기의 입자로 나누고 그 대표값으로 입도를 나타낸다. 입자가 큰 경우에는 체눈의 크기에 따라 <번(番)>으로 나타내고 작은 경우에는 등가지름을 (1/1000㎜)로 나타낸다. <번>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치가 낮을수록 입자가 크다. 골재의 경우에는 체눈의 크기가 각각 다른 일련의 표준체로 차례차례 선별하고 각 체에 잔류하는 양(시료 전체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을 구해서 입도를 표시한다. 입도가 좋은 골재란 큰 입자에서 작은 입자에 이르기까지의 변화가 거의 균등한 것이다. 입도가 좋은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수량(水量) 및 시멘트량이 적게 들고 경제적이다.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의 입자 크기의 정도. 일반적으로 표준 체눈 크기와의 관계로 나타낸다. 미터계의 입도는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표준체의 방형(方形) 그물눈 또는 원형 그물눈의 한 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단위로 나타낸다. 푸트-파운드계에서는 1inch에 포함되는 그물눈 수로 나타내는데 이것을 메시(mesh)라고 한다.
--------------------------------------------------------------------------------
내용
분체(粉體) 또는 입체(粒體)의 입자 크기의 정도. 일반적으로 표준 체눈 크기와의 관계로 나타낸다. 미터계의 입도는 입자가 통과할 수 있는 최소표준체의 방형(方形) 그물눈 또는 원형 그물눈의 한 변의 길이 또는 지름을 ㎜단위로 나타낸다. 푸트-파운드계에서는 1inch에 포함되는 그물눈 수로 나타내는데 이것을 메시(mesh)라고 한다. 모래나 연삭숫돌 입자에서는 천연적인 것이나 인공적인 것에서도 반드시 같은 크기의 입자만으로 되어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공업적으로는 어느 정도 입자의 크기가 고른 것이 편리하기 때문에 체가름법·현미경법·침강법·파별법·광전주사법(光電走査法) 등의 방법에 의해 같은 크기의 입자로 나누고 그 대표값으로 입도를 나타낸다. 입자가 큰 경우에는 체눈의 크기에 따라 <번(番)>으로 나타내고 작은 경우에는 등가지름을 (1/1000㎜)로 나타낸다. <번>으로 나타내는 경우에는 수치가 낮을수록 입자가 크다. 골재의 경우에는 체눈의 크기가 각각 다른 일련의 표준체로 차례차례 선별하고 각 체에 잔류하는 양(시료 전체량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낸다)을 구해서 입도를 표시한다. 입도가 좋은 골재란 큰 입자에서 작은 입자에 이르기까지의 변화가 거의 균등한 것이다. 입도가 좋은 골재를 사용하면 콘크리트의 수량(水量) 및 시멘트량이 적게 들고 경제적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